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레이니아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레이니아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레이니아

다방면의 깊은 관심과 얕은 이해도를 갖춘 보편적 비주류이자 진화하는 영원한 주변인.

연극, <헤어스튜디오 궁> - 그다지 참신하지 못했던 실험극

  • 2012.06.11 06:30
  • Culture/연극(Drama)
글 작성자: 레이니아
반응형
연극을 보는 제 주관적인 해석과 연극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헤어스튜디오 궁
김사빈 연출, 김도현, 황성윤, 박성훈, 마두현, 안창환 출연, 2012

  레이니아입니다. 며칠..이라고 하기엔 시간이 조금 지났지만 방명록에 연극초대 관련 글이 올라왔습니다. 사실 이런 기회는 쉬이 내버려두지 않기 때문에(?!) 바로 신청을 하고 보러가게 되었죠. 그래서 오늘 포스트는 이 초대를 통해서 보러간 제 8회 여성연출가전 마지막 작품, '헤어스튜디오 궁'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여성연출가전
  처음에 '여성연출가전'이라고 해서 무척 호의적으로 본 것이 사실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제가 제 6회 여성연출가전에 출품되었던 작품 <어멈>을 보러 다녀온 적이 있기 때문인데요.

· 관련 포스트 및 링크
- 연극, <어멈> - 브레히트 그리고 소외

  그 때 평가에는 미처 적진 못했습니다만, 브레히트의 서사극을 우리나라 버전으로 무척 맛깔스럽게 각색했었고 또 서사극의 묘미를 잘 살린 연극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여성연출가 전 자체에 무척 호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구요.

  아무튼, 2회가 지나서 다시 보게된 여성연출가전. 이번에는 어땠는지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헤어스튜디오 궁


목적성이 배어나오는 연극
  자리에 앉아서 연극이 시작되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것이 뒷면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영상입니다. <헤어스튜디오 궁>은 이런 표현 도구의 다양화(?)를 통해 실험적인 연출을 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영상은 국회의사당이 보이며 그 안에서 의원들은 대 난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이 장면을 보면서 '아, 이 연극은 정치적인 목적성이 많이 들어가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극에 목적성이 너무 뚜렷하게 부여되면 자연스럽게 주제가 좀 편협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목적성에 얽매여 자유로운 표현이 제한받는 등 문제가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래서 저는 연극이 시작되면서부터 걱정을 하면서 연극을 보기 시작했지요. <헤어스타일 궁>은 이를 부조리극의 형식으로 극복하려고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헤어스튜디오 그리고 손님
  연출가의 말에 의하면 헤어스튜디오라는 장소는 예전에 일부 계층만 사용하는 장소였지만, 점차 그 특수성이 사라지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때로는 욕망의 배출구가 되고, 삶의 쉼터도 된다고 설명합니다. 나아가서는 갇혀있지만 열려있는, 없는 것 같지만 존재하는 현대인을 위한 궁이며, 이 안에서 사람들은 다채로운 역할을 맡는, 결국은 이 세상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사실 헤어스튜디오라는 거창한 이름을 사용했지만, 결과적으로 우리 근처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곳이고 이야기의 교환이 일어나는 곳 이상의 의미는 갖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렇게 판단한 이유는 헤어스튜디오라는 장점이 극에 그다지 묻어나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소품을 제외하고 헤어스튜디오이기 때문에 의미를 갖는 점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헤어스튜디오가 아니라 복덕방이어도 상관 없을 것이고 슈퍼거나, 식당에서 일어나도 전혀 상관없는 일들이었습니다. 장소는 적어도 제게 그다지 중요한 요소가 아니었어요.

헤어스튜디오 궁


  헤어스튜디오에는 공교롭게도 모두 남자 손님이 옵니다. 게다가 이 손님은 모두 나름대로의 목적이 있어서 스튜디오에 찾아오게 됩니다. 그 목적이라는 것은 '헤어스튜디오 궁'의 주인인 '마담 궁'을 만나기 위해서인데요.

  자신이 짝사랑하는 사람의 취향을 알기 위해, 사채를 쓴 후 갚아야 하는 날을 조금 미루기 위해, 자신의 돈을 갖고 튄 친구의 행방을 조사하기 위해, 재개발 도장을 찍기 위해서 이들은 '마담 궁'을 만나길 소원하고 '마담 궁'을 기다립니다.

마담 궁
  이 연극의 핵심 인물이지만 모습을 보이지 않는 '마담 궁'은 중요하게 살펴봐야할 인물입니다. 우선 마담 궁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조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고객의 취향을 적어놓은 빨간 수첩을 가지고 있고, 대부업자들과 친분이 있으며, 이 동네의 실질적인 지배자에 이 사람의 말만 들으면 성공(혹은 자신의 꿈을 성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진술들은 모두 마담 궁이 대단한 위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이야기만 하고 있지 실제 마담 궁이 누구인지에 대한 단서로는 작용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각 인물들은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닌, 다른 누군가를 통해서 알게 된 정보라는 진술을 하면서 마담 궁에 대한 설명을 의도적으로 회피하지요.

  마담 궁과 가장 직접적으로 이야기를 나누었으리라 생각되는 '나강도' 캐릭터가 있지만 연극은 그녀의 정신이 온전치 못한 설정으로 그녀의 진술의 신뢰도를 낮춰버리고 있습니다. 결국, 이 모든 것을 종합해봐도 '마담 궁'이 누구인지 유추할 수 없으며, 실존하는 것인지조차 의심스럽습니다.

  그러나 모든 인물들은 나름의 이유를 가지고 '마담 궁'[각주:1]을 기다리고 또 기다릴 뿐입니다.


사무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답답할 정도로 등장하지 않는 마담 궁을 '기다리며' 저는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가 떠올랐습니다.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가 어제도 그리고 오늘도 기다리고 있는 '고도'. 여기서도 고도가 누군지 언급은 제대로 되어있지 않습니다.

  단순히 이들은 고도를 기다려야 하고, 왜 고도를 기다려야 하는지도 모르는 채 무작정 한 자리에서 고도를 기다리기만 할 뿐이지요. 고도는 오지 않고 매번 자신을 처음 보았다는 소년만이 '오늘은 바쁘고 내일은 꼭 오겠다.'라는 말만 남기고 돌아갈 뿐입니다.

  <헤어스튜디오 궁>은 <고도를 기다리며>와 서사가 거의 일치합니다. 포조와 럭키[각주:2]는 없지만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역할을 맡고 있는 이들이 있고, 바빠서 당장은 안오고 늦어진다는 메신저는 핸드폰 문자메시지 혹은 '박 실장'역이 맡고 있지요.

  이렇게 되는 순간 <헤어스튜디오 궁> 구성의 참신함은 단숨에 사라지고 맙니다. <고도를 기다리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연극이 되어버리기 때문인데요. 더군다나 <고도를 기다리며>의 고도가 미래, 꿈, 희망, 절대자 등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는다면 <헤어스타일 궁>에서는 뚜렷한 정치색 때문에 이 여지마저 대폭 감소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대신에 박 실장과 나강도의 대사를 통해서 어떠한 권력체계에 추종적으로 따르는 인간상을 제시하고는 있습니다만... 이게 크게 와닿지는 않았습니다.

실험극의 매력이 살지 못한 연극.
  생각보다 많이 아쉬웠습니다. 후에 찾아본 연출의도에선 특정 정치인을 한 방에 보내버린다고 했는데, 이게 그다지 와닿진 않았습니다. 생각을 해보다가 약속을 하고 오지 않는 다는 점에서 그 정치인과 유사성이 있지 않을까 싶었지만, 그렇게 된다면 이 정치인은 긍정적인 인물이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생겨버리고 말죠.

  프로젝터를 사용해서 영상을[각주:3] 중간중간 보여준 점은 독특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규모가 큰 공연에서 이미 다양하게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실험적이라고 보기 어렵고, 서사의 구조도 결국 <고도를 기다리며>와 다를 바가 없어서 참신함이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제가 모호[각주:4]하고 구성은 기존에 존재하는 구성과 비슷한 실험극. 어디에서 과감한 실험성을 찾고 그 매력을 느껴야 하는지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다만, 연극에서 쉽사리 볼 수 없던 '정치'라는 제재가 등장했다는 점을 높이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관련 포스트 및 링크
- 연극, <어멈> - 브레히트 그리고 소외
- 연극, <수업> - 이게 어딜봐서 스릴러 연극이라는 것인가.
- <푸른관 속에 잠긴 붉은 여인숙 2> - 그래, 하고 싶은 말이 뭔데?
- 연극, <옥수수 밭에 누워있는 연인>을 보고왔습니다.
- 연극, <심판> - 부조리한 현상과 맞닥뜨리다.




  1. 성별조차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고 고유명사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문으로]
  2. <고도를 기다리며>에 등장하는 인물. 기본적으로 포조가 럭키를 부려먹고 있으며, 첫째날에는 럭키에게 생각을 해보라는 말에 장황한 말을 쏟아내다 사라지고 둘째날에는 럭키는 벙어리로, 포조는 장님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집니다. [본문으로]
  3. 연출가는 미디어 아트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본문으로]
  4. 물론 제 능력이 부족하여 잡아내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본문으로]
반응형

'Culture > 연극(Dra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지컬, <화랑> - 너무나 영리한 연극  (36) 2012.07.10
연극, <괜찮냐> - 괜찮아요, 괜찮아.  (24) 2012.06.21
연극, <로맨틱 코미디> - 제목이 함정.  (14) 2012.05.24
연극, <미소춘향> - 기대해봄직한  (18) 2012.05.21
<미소춘향> 시사회를 다녀왔습니다.  (16) 2012.04.25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뮤지컬, <화랑> - 너무나 영리한 연극

    뮤지컬, <화랑> - 너무나 영리한 연극

    2012.07.10
  • 연극, <괜찮냐> - 괜찮아요, 괜찮아.

    연극, <괜찮냐> - 괜찮아요, 괜찮아.

    2012.06.21
  • 연극, <로맨틱 코미디> - 제목이 함정.

    연극, <로맨틱 코미디> - 제목이 함정.

    2012.05.24
  • 연극, <미소춘향> - 기대해봄직한

    연극, <미소춘향> - 기대해봄직한

    2012.05.21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레이니아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레이니아

  • 레이니아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전체 글 보기
  • 방명록

카테고리

  • 전체 글 보기 (2525)
    • 새로운 소식(Article) (450)
    • IT (1237)
      • 맥 & iOS(Mac & iOS) (181)
      • 안드로이드(Android) (260)
      • 윈도우(Windows) (95)
      • 블랙베리(BlackBerry) (27)
      • 카메라(Camera) (72)
      • 오디오(Audio) (101)
      • 게임(Game) (53)
      • 액세서리(Accessory) (315)
      • 웹 & 서비스(Web & Service) (131)
    • Culture (352)
      • 영화(Movie) (65)
      • 연극(Drama) (99)
      • 책(Book) (41)
      • 전시(Exhibition) (47)
      • 행사(Event) (100)
    • Hobby (306)
      • 여행(Journey) (71)
      • 음식(Food) (111)
      • 공부(Study) (24)
      • 기타 취미(Etc) (100)
    • Daily (180)
    • 관리 (0)

댓글

반응형

정보

레이니아의 레이니아

레이니아

레이니아

공지사항

  • 공지 - 1. 레이니아 연락처
  • 공지 - 2. 블로그 이용안내
  • 공지 - 3. 저작권 안내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Powered by Tistory / Kakao. © 레이니아.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