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의 법칙
글 작성자: 레이니아
반응형
사이시옷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한글 맞춤법 제 4장 4절 30항
합성어
例) 돌다리(돌 + 다리)
해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에,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例)
귓밥[귀빱]
→ 순 우리말 합성어(귀+밥),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ㄱㅜㅣ),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남[-빱]
맷돌[매똘]
→ (매 + 돌), (ㅁㅐ), [-똘]
아랫집[아래찝]
→ (아래 + 집), (-ㄹㅐ), [-찝]
이밖에도 '고랫재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등이 있다.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例)
잇몸[인몸]
→ 순 우리말 합성어(이+몸),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ㅇㅣ), 뒷말의 첫소리(-'ㅁ'ㅗㅁ), 'ㄴ'소리가 덧남['인'몸]
냇물[낸물]
→(내+물), (ㄴㅐ), (-'ㅁ'ㅜㄹ), ['낸'물]
이밖에도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깻묵 빗물' 등이 있다.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例)
뒷일[뒨닐]
→ 순 우리말 합성어(뒤+일),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ㄷㅜㅣ), 'ㄴㄴ'소리가 덧남 [뒨닐](ㄷㅜㅣ'ㄴㄴ'ㅣㄹ)
나뭇잎[나문닙]
→(나무+잎), (ㄴㅏ), [나문닢](ㄴㅏㅁㅜ'ㄴㄴ'ㅣㅍ)
이밖에도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댓잎' 등이 있다.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例)
귓병[귀뼝]
→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귀+병(病)),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ㄱㅜㅣ),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귀'뼝']
전세집[전세찝]
→ (전세(傳貰)+집), (ㅅㅔ), [전세'찝']
이밖에도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등이 있다.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例)
제삿날[제산날]
→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제사(祭祀)+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ㅅㅏ), 뒷말의 첫소리(-'ㄴ'ㅏㄹ) 'ㄴ'소리가 덧남[제산날](ㅈㅔㅅㅏ'ㄴㄴ'ㅏㄹ)
이밖에도 '곗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등이 있다.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例)
예삿일[예산닐]
→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예사(例事)+일),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ㅅㅏ), 'ㄴㄴ'소리가 덧남[예산닐](ㅇㅖㅅㅏ'ㄴㄴ'ㅣㄹ)
이밖에도 '가욋일 사삿일 훗일' 등이 있다.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본디 한자어는 사이시옷을 적용하지 않으나, 위의 6가지 단어만 예외로 친다.
정리
① 합성어인 단어이되
②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에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
㉡ 뒷말의 첫소리'ㄴ,ㅁ'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③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가 있다.
*단어를 보았을 때, 합성어인지 아닌지 파악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이를 떼어놓을 줄 알아야 한다. 또한, 그 각 단어가 한자어인지, 순 우리말인지 파악 할 수 있어야 한다.
例) '차'(茶)가 순 우리말인가?
→ 예로부터 '茶 '자의 새김(訓)이 '차'였으므로, 한자어 '다(茶)와 구별한 것으로 해석됨.
*사이시옷은 발음의 편의 및 음운의 변화를 표기하기 위하여 받쳐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시옷이 먼저 생기고 발음이 따라서 변한 것이 아니라, 발음이 변하고 나서 사이시옷을 적게 된 것이다. 이 점을 유념해야 한다.
例) 노루재 → [노루째]로 발음된다면 '노룻재'라고 적어야 옳은 표현
[노루재]로 발음된다면 '노루재'라고 적어야 옳은 표현이다.
이는 고유명사 및 널리 불리는 발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응용문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