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라, - 던'과 '- 든지'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1.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 더라, - 던'으로 적는다.
2.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는 '(-)든지'로 적는다.
(1) 지난 일을 말하는 형식에는 '-더'가 결합한 형태를 쓴다.
(2) '-던'은 지난 일을 나타내는 '더'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붙어서 된 형태이며, '-든'은 내용을 가리지 않는 뜻을 표시하는 연결 어미 '-든지'가 줄어진 형태다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제 6장 56항
-든지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또는 어미로서
선택과 관련된 문장에 주로 쓰인다.
例) 사과를 먹든지 배를 먹든지 상관하지 않겠다.
→ 여기서 '-든지'는 사과와 배(물건이나 일의 내용)를 가리지 않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위 문장은 선택과 관련되어 있다.
뛰어가든지 차를 타든지 영락없이 지각하게 생겼다!
→ 여기서 '-든지' 역시 뛰어가다와 차를타다(물건이나 일의 내용)를 가리지 않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위 문장은 선택과 관련되어 있다.
-던지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이다.
→막연한 의문이 존재하여야 하고, 그 것이 다음 절과 관련되어지기 때문에
과거와 관련된 문장에 주로 쓰인다.
例) 그 때 내가 왜 사과를 먹었던지 지금에 와서는 이해가 가질 않는다.
→ '왜 사과를 먹었는가?'에 대한 의문 존재,
'그 때' 사과를 먹은 것이 다음절인 '지금에 와서'와 관련지어짐.
*위 예문들 중에서 '-든지'는 '-지'를 생략하고 '-든'만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던지'는 '-지'를 생략하여 '-던'만 사용할 수 없다.
例) 사과를 먹든(지) 배를 먹든(지) 상관하지 않겠다.(O)
뛰어가든(지) 차를 타든(지) 영락없이 지각하게 생겼다!(O)
그 때 내가 왜 사과를 먹었던 지금에 와서는 이해가 가질 않는다.(X)
'-더'와 결합하여 지난 일을 말하는 형식으로는 '-더구나, -더구려, -더구먼, -더군, -더냐,
-더니, -더니라, -더니만, -더라, -더라면, -던, -던가, -던걸, -던고, -던데, -던들' 등이 있으며,
이들도 모두 '-드, -든(-)'으로 적으면 맞춤법에 어긋나게 된다.
응용문제
「오늘은 아침부터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것 같은 날씨다. 매일같이 지각하는 나이긴 하지만
그날은 유독 왜 그랬( ) 지금에 와서도 이해가 가질 않는다.
이 날씨 때문에 아침인지 지각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늦었다는 것은 역시 변명.. 이려나.
평소같았으면 그래도 '하교길에 비가 오거( ) 집에 연락을 하려므나'라고 하실 어머니도
비가 죽죽 쏟아지( ) 말( ) 상관하지 않겠다. 라는 얼굴로 내가 집을 나설 때 까지 아무 말씀도
하지 않으셨다. 으아아.. 이 시간이면 정말 뭘 하( ) 영락없는 지각이겠구나!
"어이! 지각생! 오늘도 늦는가?"
나와 거의 매번 같이 지각을 하는 친구다. 오늘도 이녀석과 동료가 되겠군.
"남이사, 늦( ) 말( ). 그리고 너도 지각이잖아. 지금 이시간이라면.."
"우리 그렇게 속좁게 살지말자고. 어쨌( )간에 오늘은 어떤 이유로 늦으셨어?"
"글쎄다.. 내가 왜 그랬( ) 알 수가 없다."」